엔씨소프트

 개요

2025년 턴어라운드 가능성으로 분석한 종목은 3종목 입니다.
현대건설, 한화솔루션 순으로 차익실현을 하고 3번째로 선정한 종목으로 아직 오르지 않은 주식중에 선정했기때문에 앞선 두 종목을 선정한 이유보다 매력이 높지는 않습니다.

138000~150000, 152500 매입하였고 지금은 많이 올라온 상태 입니다. 
과거에 발표자료로 만든걸 블로그 개설기념으로 올리는 내용으로 시점 차이가 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

2020~ 2022년에 2조 5천억 가량의 매출과 6천억 정도의 당기순이익으로 주가가 104만원가지 올랐으나, 13만원 초반까지 가격이 하락하였고, 2024년 매출1조6천억, 영업이익 -1000억을 기록(적자전환)

최악의 분위기

내놓는 신작마다 좋지 못한 성적을 겪었고 더 이상 게임을 잘 못 만드는 회사로 인식되어 주가가 심각하게 하락 하였습니다.  BM구조로 인해 기업 이미지가 좋지 않아졌습니다. 

내제가치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현금성자산 4,642
단기금융상품 3,792
부동산 14,731
매출채권 1,486
유동투자자산 6,676
비유동자산 6,841

부채합계

유동부채 3,682
비유동부채 4,947

자산 - 부채 = 2조9451억, 한 주당 137119원입니다. 
연간 1조 5천억의 매출이 나오는 사업가치가 있습니다

적자원인

타기업대비 너무많은 인원, 너무 좋은 복지 와 임금, 야구단운영이 큽니다.
투자 당시 비슷한 시총규모의 시프트업은 직원수 300명, 펄어비스는 직원스 700명
시총 규모가 5배는 더큰 크래프톤도 1800명입니다.

엔씨소프트의 직원수는 계열사를 포함하면 당시 5000명 가량이었습니다. 
연간 야구단 운영비도 300억 가량이 예상됩니다.

구조조정, 복지축소, 야구단 매각등으로 영업이익율이 계선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턴어라운드 가능성

지금 좋지 않지만 앞으로 좋아질 수 있는지가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올해 말부터 내년초까지 몇넌동안 개발한 아이온2, LLL, 택탄등의 게임이 출시 예정입니다. 
내부적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하였고, 내부 가족임원들이 퇴사 하였습니다, (김택현, 윤송이)

아이온2는 기존의 리니지식 과금이 아닌 글로벌 시장을 노린 게임성으로 승부를 보려고 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관련 계획이 성공할 수 있다면 턴어라운드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테마

엔씨는 게임 회사중 가장많이 AI를 연구해왔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AI테마로 묶인 주식들은 오픈소스만 붙인 껍데기 회사들이 많은데, 응용 AI로 발전된다면 수혜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 될 수 있습니다. 생산비용감소, 게임성 품질향상등의 기대가 생길 수 있지만, 현시점에서 당장의 기대치는 미비하므로 미래 가능성으로 기대감이 생길수는 있습니다.

이벤트켈린더

MSCI편출, 벨류업지수편출등으로 인해 주가가 많이 눌렸으며, 관련 리벨런싱 날자들을 매수기회로 삼았습니다.
Msci 편출당시 이상현상이 발견되었는데 넷마블의 msci편출당시에는 종가가 최저가로 거래되었지만 엔씨소프트의경우 총가에만 2천억의 매도물량이 시장가로 던져졌지만 종가 직전가격보다 높은가격에 체결됨. 그 이후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리스크

아이온2가 게임성 증명도 못하고 실패한다면 한동안 성장성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게임산업은 경제가 좋아지는 시기에 게임에도 소비를 할때 좋은 산업이므로 올해 말에서 내년 초 경제가 좋지 못하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몇몇 지표



타종목대비 가격방어율입니다. 전체 상장 주식중 거래량이 2억이상인 주식들과 비교한 상대값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가격은 오르고 있지만 대차잔고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일부 차익실현이 나왔지만 투신과 사모펀드는 매입하고 있습니다. 저는 수급중 투신과 사모펀드의 수급을 위주로 확인합니다.


시장상황


시장 특이점으로는 예수금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음. 코로나 당시 고점보다 못하지만 비슷한 수준 입니다.


신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고점 당시의 신용보다는 낮은 상황 이지만 그래도 높은 수준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상장주식을 대상으로 신고가 신저가지수, 거래량증가량을 지수화한 지표, 상승종목과 하락종목수를 수치화한 값을 최근에 좀 꺽인 것으로 보아 공격적으로 매수하기 좋은 시점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지표는 방어적 투자를 해야할 시점으로 보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ava] runon jdbc 라이브러리

턴어라운드 가능성 (현대건설, 한화솔루션)

[java] 파일 라인수 얻기, 특정라인 빨리 읽기 (빠른 라인처리)